이더리움이랑 비트코인이랑 차트가 비슷하던데 뭐가 달라?

2025. 3. 10. 15:06·시사.경제
반응형
이더리움(ETH)과 비트코인(BTC)의 차트가 비슷해 보이는 이유는 둘 다 암호화폐 시장의 주요 자산으로, 시장 전반의 흐름(예: 투자 심리, 거시경제 요인, 규제 뉴스 등)에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입니다.

 

1. 목적

  • 비트코인 (BTC):
    • 목적: "디지털 금" 또는 가치 저장 수단(Store of Value)으로 설계됨.
    • 철학: 중앙은행 없이 개인이 통제할 수 있는 화폐 시스템을 만들자는 사토시 나카모토의 비전. 주로 P2P 전자 현금 시스템으로 시작.
    • 주요 용도: 거래 수단, 장기 투자 자산.
  • 이더리움 (ETH):
    • 목적: 단순한 화폐를 넘어 "분산형 컴퓨팅 플랫폼" 제공.
    • 철학: 스마트 계약(Smart Contract)과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DApp)을 실행할 수 있는 생태계를 구축하려는 비탈릭 부테린의 아이디어.
    • 주요 용도: DeFi, NFT, 게임 등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의 기반.

2. 기술적 차이

  • 블록체인 기능:
    • 비트코인: 거래 기록만 저장하는 단순한 장부. 기능이 제한적.
    • 이더리움: 스마트 계약을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래밍 가능 블록체인. 더 복잡한 로직을 처리 가능.
  • 합의 메커니즘 (2025년 3월 기준):
    • 비트코인: 작업 증명(PoW, Proof of Work). 채굴자가 컴퓨팅 파워로 블록을 생성.
    • 이더리움: 지분 증명(PoS, Proof of Stake). 2022년 "더 머지(The Merge)" 이후 PoW에서 PoS로 전환해 에너지 효율성 높임.
  • 블록 생성 속도:
    • 비트코인: 약 10분마다 블록 생성.
    • 이더리움: 약 12~15초마다 블록 생성. 더 빠른 거래 처리 가능.

3. 토큰 경제

  • 비트코인:
    • 총 공급량: 2,100만 개로 고정. 희소성 강조.
    • 채굴 보상: 4년마다 반감기(halving)를 통해 줄어듦.
  • 이더리움:
    • 총 공급량: 고정되지 않음. 발행량은 네트워크 활동에 따라 변동.
    • EIP-1559 업데이트(2021년) 이후 일부 ETH가 소각(burn)되어 공급량 조절. 

4. 실제 활용성

  • 비트코인: 주로 결제 수단이나 투자 자산으로 사용. 실생활에서 쓰이는 경우는 제한적.
  • 이더리움: 스마트 계약 기반으로 DeFi(탈중앙 금융), NFT(대체 불가능 토큰), DAO(탈중앙 자율 조직) 등 다양한 프로젝트가 이더리움 위에서 실행됨. "가스비(Gas Fee)"로 네트워크 사용료 지불.

5. 가격 변동성 차이

  • 차트가 비슷해 보일 수 있지만:
    • 비트코인은 "안정적 가치 저장" 이미지로 인해 시장 변동에 상대적으로 덜 민감할 때가 있음.
    • 이더리움은 생태계 확장성(예: DeFi 붐, NFT 열풍)에 따라 추가적인 변동 요인이 생김.
  • 비트코인: 금(gold) 같은 디지털 자산. 보유하고 가치가 오르길 기다리는 느낌.
  • 이더리움: 스마트폰 같은 플랫폼. 앱(스마트 계약)을 설치해 여러 용도로 활용 가능.

 

결론적으로, 차트는 비슷할 수 있어도 비트코인은 "돈"에 가깝고, 이더리움은 "기술 플랫폼"에 가깝습니다.

 

 

 

" 그럼 비트코인이랑 이더리움중에 뭐가 더 돈벌기가 쉬울까? "

 

1. 비트코인 (BTC)

  • 장점:
    • 가장 오래되고 널리 알려진 암호화폐로, 시장 점유율이 높고 유동성이 뛰어남.
    • "디지털 금"으로 불리며, 장기 투자자들이 많아 안정적인 가치 저장 수단으로 인식됨.
  • 단점:
    • 가격 변동성이 크긴 하지만, 이미 시가총액이 높아서 단기간에 엄청난 상승(예: 10배)을 기대하기는 어려움.
    • 채굴이나 트레이딩으로 돈을 벌려면 초기 자본이 많이 필요할 수 있음.

2. 이더리움 (ETH)

  • 장점:
    • 스마트 컨트랙트와 디앱(DApp) 생태계를 지원해 활용도가 높음.
    • 업그레이드(예: 이더리움 2.0, 샤딩 등)로 인해 성장 가능성이 남아있다는 낙관론이 있음.
    • 스테이킹으로 수익을 얻을 수 있어 트레이딩 외에도 수동적 수입 가능.
  • 단점:
    • 경쟁 프로젝트(솔라나, 카르다노 등)가 많아 리스크가 존재.
    • 네트워크 수수료(가스비)가 비쌀 때가 있어 소액 투자엔 불리할 수 있음.

돈 벌기 쉬운 기준에 따른 판단

  • 단기 트레이딩: 이더리움이 비트코인보다 변동성이 더 크고, 디파이(DeFi)나 NFT 같은 트렌드와 연계되면서 단기적으로 큰 수익을 낼 기회가 많을 수 있음.
  • 장기 투자: 비트코인은 안정성과 브랜드 인지도 덕에 "안전한" 선택으로 보일 수 있음.
  • 초보자 관점: 비트코인은 진입 장벽이 낮고 정보가 많아 시작하기 쉬움.
반응형

'시사.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트코인 중 김치 프리미엄이란?  (0) 2025.03.30
S&P 500 VS 나스닥 100 중 뭐가 나을까? 미국 ETF 정리  (2) 2025.03.28
2025.3월 서머타임 기준 미국장 클로즈 시간  (0) 2025.03.14
SEC /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urities and Exchange Commission)  (0) 2025.03.13
월드 리버티 파이낸셜 World Liberty Financial, WLFI 이란?  (0) 2025.03.10
'시사.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 S&P 500 VS 나스닥 100 중 뭐가 나을까? 미국 ETF 정리
  • 2025.3월 서머타임 기준 미국장 클로즈 시간
  • SEC /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urities and Exchange Commission)
  • 월드 리버티 파이낸셜 World Liberty Financial, WLFI 이란?
에이쌥
에이쌥
빨리 SAP을 마스터하고 싶습니댜 ^-^ 메일 : happysunaday@gmail.com
  • 에이쌥
    ASAP
    에이쌥
  • 전체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87)
      • Bitget (1)
      • 시사.경제 (7)
      • SAP (60)
        • BDC (6)
        • ALV (6)
        • CTS (2)
        • SMARTFORMS (6)
        • 기초 지식 (22)
      • SD (0)
      • PP (1)
      • MM (5)
      • SAP 오류 (13)
      • EXCEL (0)
  •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 링크

  • 공지사항

  • 인기 글

  • 태그

    assigned fc
    SAP엑셀
    마이크 세일러
    alv
    비트코인
    아밥
    smw0
    sap스마트폼
    sap
    ABAP
  • 최근 댓글

  • 최근 글

  • hELLO· Designed By정상우.v4.10.3
에이쌥
이더리움이랑 비트코인이랑 차트가 비슷하던데 뭐가 달라?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