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P

01. SAP ABAP 언어 및 기초

에이쌥 2023. 5. 30. 10:03
반응형

네모 칸 안은 내가 건들일 수없는 스탠다드 (STD) , sap 자체 기본 셋팅 A~W

그 밖은 CBO라고함. 내가 이제 건들꺼 XYZ

 

 

SAP 서버 구성

 

DEV(Development Server) : 개발서버   ➡️    ABAP개발, 단위테스트

QA(Quality Assurance Server) : 품질서버   ➡️    통합테스트

PROD(Production Server) : 운영서버    ➡️    현업사용, 실제 Business Data발생

 

 

CTS ( Change and Transport System ) 란?

작업 내역을 각 서버로 이관해주는 Tool임

· CTS.No ' Release ' 는 해당 작업내역이 끝났다는 것을 의미

· CTS No. 는 서버 

 

 

트랜잭션이란? -> 하나의 작업을 처리하기 위한 일련의 작업 과정

SAP 의 T-CODE란 트랜잭션코드로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명령어임

 

 

T-CODE

 

SE80 :  모든 object 처리

- YTEST_001 만들어봄

 

SE38 : 프로그램 코드 작성, 수정

-YTEST_001 넣고 검색돌리면 소스코드볼수있고 수정할 수있음

 

SE37 : 함수 모듈 처리

-Function은 개별적으로 하나의 프로그램들을 구성하고있음

 

SE11 : 테이블 만들기 / 테이블 조회

- Z12_SPFLI 만들어봄

 

* Key : 유니크한 값을 같는 필드의 조합

* Initial Values : not null의 효과

* ABAP의 경우 Activation활성화이라는 작업으로 컴파일을 하게 된다고함.

 

SM30 : Memory 파라미터 생성하기

 

 

 


 

*도메인이란?

필드의 기술적 속성을 정의하는 개체

특징: Data type과 Value Range를 셋팅할 수 있음 

 

테이블 조회 후 data element 클릭했더니 도메인이 열림

Domain ➡️ Data Element ➡️ Table Field or 변수

 

* Data Element 란?

테이블 필드의 기술적 속성 및 데이터 타입을 결정할 수 있는 object임

  · 네이밍 룰이 있음 

  Z : CBO이자, 운영에 반영함

  E : DATA ELEMENT

  Y : CBO이지만 운영에 반영하지 않음

 

* Data Element 특징

Elementary Type을 결정하는데 두가지 방법이 있음

 

  1. 미리 만들어 둔 Domain 사용

  2. SAP에서 만들어둔 기본 데이터 유형(char 같은 등등..)사용하고 길이도 직접 지정 가능한 Predefine Type 사용

 

 


테이블 관련

테이블 만드는 순서

tcode se80 접속 후 dictionary Objects ➡️ Create ➡️  Database Table

Delivery Class : 테이블 데이터의 전송 제어를 위한 세팅

A : 각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직접 제어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사용됨 / Customer Table이라함

 

금액 : CURR 

수량 : QUAN

금액인 CURR 형식의 필드는 통화 키가 무엇인지를 정해주는 것이 필요하고,

수량인 QUAN 형식의 필드는 수량 단위가 무엇인지 정해주는것이 필요하다.

그걸 셋팅하는곳인 CURRENCY/QUANTITY FIELDS 탭이 됨.


 

● 변수를 선언할때 VALUE 구문을 통하여 초깃값 정의할 수 있음

● MOVE 또는 WRITE TO 구문을 이용하여 변수에 값을 할당함

프로그램에서 자주 사용하게 되는 값을 상수(CONSTANT)로 선언하여 사용한다.

  ➡️ 상수로 선언하게 되면 프로그램 내에서 변경할 수 없다.

 

STATICS

 ➡️ 프로그램 SUBROUTINE에 사용되는 로컬변수의 값을 지속적으로 저장하여야 할 경우 사용됨.

 

SUBROUTINE

 ➡️ 프로그램의 스크립트의 모듈화 재사용 구조화를 목적으로함

    모듈화는 의미있는 기능들을 모아 놓은 프로그램 블록을 의미하며 재사용이 가능한 특성이 있어야함

    SUBROUTINE은 FORM문으로 시작하여 ENDFORM으로 종료되는 구문을 의미하며 PERFORM문으로 호출됨

 

PERFORM

➡️ PERFORM 명령어는 SUBROUTINE을 호출하는 명령어임 (프로그램의 진행 흐름이 지정한 위치로 이동되어서

실행이 되며 호출되는 BLOCK이 종료되면 다시 되돌아와서 실행을 계속함)

 

Info Record (구매 정보 레코드)

하나의 공급업체와 하나의 자재에 대해서 가격 조건을 관리하는 중요한 마스터 정보임

구매 오더를 생성할때 해당 공급업체와 자재의 구매정보레코드에 등록된 가격 조건을 자동으로 가져와서

구매 금액으로 지정되게 한다.

 

 

* FI (재무회계)  CO(관리회계) 의 차이점

 

FI 모듈은 기업의 외부 이해관계자들을 위한 회사의 재무정보를 정확하게 산출/공시 하는것에 기본 목적이 있다.

재무재표, 손익 계산서등을 작성하여 공시나 감사보고서를 위한 작업들을 하게 된다.

 

CO모듈은 기업 수익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기업 내부적으로 비용/수익의 관리의 효율화에 그 목적이 있다.

 

 

 

 

* CURRENCY = 거래에서 지급 수단이나 유통수단으로 사용되는 은행권과 정부가 발행한 지폐나 주화의 뜻

 

반응형